MEDIA SERVER 구성하기
네트워크를 통해 미디어를 볼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설치한다.
DLNA 지원 미디어 서버(Plex, MiniDLNA ...)는 많으나 라즈베리파이의 성능상 MiniDLNA를 추천한다.( 미디어 서버는 하나만 설치하기 바란다.)
DLNA 즉 upnp 기술은 홈 네트워크( 동일한 아이피 영역대, 서브넷 마스크 영역대, 같은 공유기에 접속된)에서만 미디어 서버를 찾고 접근 할 수 있다.
이를 원격지(홈 네트워크 외부, 집 밖)에서 접속하기 위해서는 Bubble UPNP Server를 설치해야 한다.
Bubble UPNP Server는 upnp 를 외부에서 접근하게 해주는 Gateway역활을 한다. VPN과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될듯하다.
MiniDLNA(ReadyMedia) 1.2.0 (smi 자막지원, 1.1.4 이후부터 smi 자막지원한다함)
DLNA 를 지원하는 최소한의 기능만 존재하는 미디어 서버이다. 매우 가벼워서 사용하기 좋다.(Plex 가 무겁다 생각되면 miniDLNA를 추천한다.)
원래는 MiniDLNA란 이름이었지만 ReadyMedia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기본적으로 minidlna는 트랜스코딩을 지원하지 않지만 git 에 트랜스코딩을 지원할 수 있는 branch가 있다.
https://bitbucket.org/stativ/readymedia-transcode : minidlan(readymedia transcode)
참고 자료
https://wiki.archlinux.org/index.php/ReadyMedia : 설정법
https://www.htpcguides.com/install-latest-readymedia-minidlna-ubuntu/ : 가장 최신 ReadyMedia 설치법
https://sourceforge.net/projects/minidlna/files/minidlna/ : MiniDLNA 소스포지
컴파일해서 설치하기
// repository 최신화 $ cd /tmp $ wget http://sourceforge.net/projects/minidlna/files/latest/download?source=files -O minidlna.tar.gz // 압축 풀기 $ cd minidlna*
// 컴파일하기 $ ./configure && sudo make && sudo make install $ sudo cp minidlna.conf /etc/ $ sudo cp /linux/minidlan.init.d.script /etc/init.d/minidlna
// 스크립트 실행권한 주기
// 서비스 등록하기(부팅시 자동실행) $ sudo update-rc.d minidlna defaults
// minidlna 설정하기 $ sudo vi /etc/minidlna.conf
// 서비스 실행 $ sudo service minidlna start |
apt로 설치하기
$ sudo apt-get update |
설정하기
$ sudo vi /etc/minidlna.conf |
라이브러리(미디어 파일) 경로 설정은
V는 video, A는 Audio, P는 Picture, B는 Directory 를 뜻한다.
media_dir=V,/media/Movies media_dir=V,/media/TV media_dir=A,/media/Music media_dir=P,/media/Pictures |
DLNA Server 이름은
friendly_name=Media Server |
라이브러리 폴더에 파일이 추가, 삭제, 변경 되었을 시 자동으로 목록을 최신화 하기 위해 파일 변경 알림 받기
inotify=yes |
minidlna의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는 디렉토리 설정
db_dir=/home/pi/.minidlna |
빠른 저장공간이 있다면 그 경로로 지정하는게 좋다.
설정 적용하기
$ sudo service minidlna force-reload |
간단한 웹 관리페이지도 있다.
PLEX Media Server 설치 (기능이 많다, 무겁다)
MiniDLNA나 PLEX 둘중에 하나만 설치해야한다.
DLNA를 지원하고 홈 네트워크 뿐 아니라 PLEX자체 기능을 이용하여 외부 네트워크에서도 미디어를 볼 수 있게 해준다.
웹 관리 프로그램(웹페이지)도 존재한다. 인터페이스가 GUI 환경이라 설정등이 편하고 따로 미디어 플레이어 없이 웹에서 바로 미디어 시청이 가능하다.
기능이 아주 강력한 프로그램이지만 무겁다. 미디어가 존재하는 장치(SDCard 혹은 외장하드)나 라즈베리파이에서는 성능이 나오지 않을 가능성이 있어 최적화 설정을 해주어야 한다.
글쓴이의 경우는 외장하드를 연결하였는데 오래된 하드라 읽기/쓰기 성능이 좋지 않아서 인지 미디어 파일을 스캔하는데 너무너무 오래 걸려서 MiniDLNA를 설치했다.
참고: https://www.dev2day.de/typo3/projects/plex-media-server/
설치법
방법1. 루트로 변경 후 명령(이 방법 사용)
# become root sudo su # add my public key wget -O - https://dev2day.de/pms/dev2day-pms.gpg.key | apt-key add - # add my PMS repo echo "deb https://dev2day.de/pms/ jessie main" >> /etc/apt/sources.list.d/pms.list # activate https apt-get install apt-transport-https # update the repos apt-get update # install PMS apt-get install plexmediaserver-installer |
방법2. sudo 만을 이용한 명령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upgrade -y
/// 라즈베리파이3에서 재부팅없이 웹으로 설정시 버그가 발생할 수 있다. 때문에 한번 재부팅하자. sudo reboot |
시작하기
설정은 웹브라우저를 통해 이루어진다.
localhost:32400/web 또는 127.0.0.1:32400/web |
위와 같이 local혹은 내부 네트워크에서 접속시에는 관리자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만약 외부에서 ip를 통해 접속한다면
232.18.11.11:32400/web |
이런식으로 외부에서 ip를 통해 접속시에는 plex.tv로 로그인해야한다. 회원을 만들고 외부에서 해당 회원을 통해서 접근가능하다.
접속하게되면
설정
트렌스코딩 임시 디렉토리 위치 변경
기본 Sd Card의 입출력 속도가 매우 저조한 관계로 또한 수명을 위해서 임시 디렉토리 경로를 외장하드로 잡아야 한다.
http://pauljhughes.eu/blog/2015/05/01/move-plex-metadata-location-on-ubuntu-14.04/ : metadata db 경로 변경법
뿐만 아니라 경로를 바꿀 수 있는 모든 설정은 수명과 성능을 위해 SD Card 보다는 외장하드로 잡는 것 좋다.
글쓴이의 경우는 SD Card 가 좋지 않을 걸 사용하여 왠만한 설정은 외장하드 경로로 바꾸었다.
'프로그래밍n학습자료(2018~) > 라즈베리파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spberry Pi] 11. 라즈베리파이3 나스만들기 - Kodi ( 미디어 플레이어 ) 설치 (0) | 2018.05.24 |
---|---|
[Raspberry Pi] 10. 라즈베리파이3 나스만들기 - BubbleUpnp Server 설치 (0) | 2018.05.24 |
[Raspberry Pi] 8. 라즈베리파이3 나스만들기 - SAMBA ( CIFS ) 설치 (0) | 2018.05.24 |
[Raspberry Pi] 7. 라즈베리파이3 나스만들기 - Pydio ( File Sharing ) 설치 (0) | 2018.05.24 |
[Raspberry Pi] 6. 라즈베리파이3 나스만들기 - Monsta FTP(Web Based FTP Client) 설치 (2) | 2018.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