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288

스위치의 기능 및 동작 방식

출처 : http://blog.pages.kr/59 스위치의 기능 및 동작 방식 # 스위치는 IEEE 802.1D 의 규정에 따라 동작하는데 트랜스패런트 브리징과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이 있다. # STP는 2대 이상의 스위치가 복수개의 링크로 연결되어 있을 때 이중성을 유지하면서 루프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방식이다. # 트랜스패런트 브리징은 스위치가 MAC 주소 테이블을 만들고 유지하며 이를 참조하여 수신 프레임을 목적지 포트로 전송하는 방식. 스위치는 MAC 주소 테이블을 보고 프레임을 스위칭한다 # 리피터 - 전기적인 신호만 증폭시켜 먼 거리까지 도달 할 수 있도록 한다. # 허브 - 리티어뫄 마찬가지로 전기적인 신호를 증폭시켜 LAN의 전송거리를 연장시키고 여러 장비를 LAN에 접속할 수 있도록 ..

[네트워크] Zero-Copy 란?

PDF 자료 Zero Copy는 머 간단히 이야기 하면 Network에서 Read/Write 할때 걸리는 불필요한 Copy 과정을 최소화 하자는 이야기이다 IBM(http://www.ibm.com/developerworks/library/j-zerocopy/) - 번역(http://highway101.tistory.com/301) 의 내용을 살펴 보면 기존의 데이터 복사 과정은 다음과 같다 무려 4번이나 걸린다 - _- 굳이 그럴필요가 있는가 걍 바로 네트워크로 Read/Write하면 되지 않는가 !! 그래서 얘네 정의 한 내용을 Zero Copy의 과정을 보면 다음과 같다 보면 2번만에 복사가 완료된다 - 근데 구현은 어떻게 할까 ㅡ.ㅡ? 친절하게 Sample Code가 있다. 근데 java ... 어..

[네트워크] 윈속 프로그래밍 - IOCP 펌

윈속 프로그래밍 리뷰 - 1 앞으로 몇 회에 걸쳐 윈도우 기반의 서버 프로그래밍 기법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개념적인 설명보다는 실무에 바로 적용될 수 있는 내용들 위주로 설명할 것이다. 이후 대량의 접속을 커버할 수 있는 실전 예제를 만들어 보는 것으로, 독자의 수준을 크게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키는 것이 이 글의 궁극적인 목표이다. 독자가 아직 윈속 API나 멀티 쓰레드에 대해 익숙하지 않다면 참고 서적을 옆에 두고 따라오는 것이 좋을 것이다. 서버 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정말 웃지 못할 사건들을 많이 접하게 된다. 클라이언트 접속이 1000개까지는 문제가 없다가 1001번째에 갑자기 크래시(crash)가 발생하기도 하고, 서버를 구동시킨 지 2~3일이 지난 시점부터 조금씩 리소스가 새기도 한다. 부지..

Base64 알고리즘

제목이 말하는 Base64의 의미가 무엇인지 살펴 보자. 베이스가 64라는 것은 모든 정보를 64진수로 표시한다는 것인데, 컴퓨터는 2진수를 사용하므로 64진수로 표시하기 위해서는 2^6 = 64 즉 6 비트 2진수 열이 필요하다. 그런데 대개 컴퓨터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정보 단위는 8 비트씩 엮어진 바이트이므로 6비트와 8비트가 각각 나누어 떨어질 수 있는 공배수의 최소값 (최소 공배수)를 구하면 24비트가 된다. 24비트는 8비트 바이트에서는 3바이트가 되고, 64진수로 나타내기 위한 6비트 단위로는 4 단위가 된다. (바이트라고 반복하기 말하면 혼동이 될 것 같아서 "단위"라는 말로 대치하였다.) 따라서 Base64의 인코딩 원리는 3바이트 단위마다 (즉 24비트 마다) 6비트씩 쪼개어서 6비트 ..

[책 추천]

TCP/IP Illustrated vol 1,2,3 - 네트워크 책의 정석이랄까. [고급]버그 없는 안전한 소프트웨어를 위한 CERT C 프로그래밍 [고급]버그 없는 안전한 소프트웨어를 위한 CERT JAVA 프로그래밍 [기초] 리눅스 기반의 TCP/IP와 라우팅 프로토콜 [기초] 예제로 배우는 리눅스 소켓 프로그래밍 [기초] 문법 떼고 다시 배우는 c 프로그래밍 (한빛 미디어) [기초 비추천]비기전수 c 프로그래밍 (인피니티 북스) [기초] 유닉스/ 리눅스 시스템 프로그래밍 500제(법영사) [고급] IT Cook Book 유닉스 시스템 프로그래밍 [기초] 유닉스 리눅스 프로그래밍 필수 유틸리티(개정판)(한빛 미디어) [고급] Advanced programming in the Unix envirmmen..

5분기억저장소 2012.01.10

[네트워크] Nagle 알고리즘

Nagle 알고리즘 Nagle알고리즘? 네트워크 상에 패킷의 수를 줄이기 위해 개발된 알고리즘 1. 일반 네트워크 통신방법 - 일반적인 통신알고리즘은 데이터는 패킷으로 만들어 보낸다는 것이며 수신호스트는 이에 대한 ACK를 보낸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A,B 두 호스트가 통신을 합니다. A는 B에게 'Nagle'라는 데이터를 보내기 원하면, 먼저 'N'이라는 데이터를 패킷으로 만들어 출력버퍼로 보냅니다. 그리고 ACK를 받고 안받고 관계없이 'a'를 패킷으로 만들어 보내고 이어서 'g', 'l', 'e' 각 데이터를 패킷으로 만들어 보낼 것입니다. 수신호스트로부터의 ACK가 언제 오는가는 전혀 관계가 없고, 언제 오든지 오기만 하면 되는 것입니다. 2. Nagle 알고리즘 - 네트웍에서 Nagle 알..

[리눅스] vim 에 대한 정리 사이트

vimrc 설명 : http://mkseo.pe.kr/blog/?p=647 makefile 예제 : http://mkseo.pe.kr/blog/?p=1147 vi 설치 환경설정 : http://mkseo.pe.kr/blog/?p=102 vim 플러그인 다운 : http://www.vim.org vim 플러그인 설치 : http://semtle.tistory.com/186 vim 명령어 정리 : gyuha.tistory.com/attachment/dk28.pdf http://www.eandem.co.uk/mrw/vim/usr_doc/index.html vim user 메뉴얼- 공식 http://vimdoc.sourceforge.net/ vim 공식 사이트 - 메뉴얼, book, plugin 제공

반응형